부동산

[스크랩] [일터 삶터] `꼬마빌딩`의 매력지수

♥1004 2016. 8. 28. 00:04
[일터 삶터] `꼬마빌딩`의 매력지수
http://v.media.daum.net/v/20160825111112169

출처 :  [미디어다음] 칼럼 
글쓴이 : 아시아경제 원글보기
메모 :

http://news.mk.co.kr/newsRead.php?no=596899&year=2016




다가오는 美금리인상…한국경제 또 흔들리나


  • 입력 : 2016.08.27 09:45:03   수정 : 2016.08.27 10:01:21



 기사의 본문상단 이미지
외국인 자금유출 우려…원/달러 환율은 인상 요인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 여력은 작아져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지면서 한국경제의 긴장감도 높아지고 있다.
재닛 옐런 미국 연준 의장은 26일(이하 현지시간) 와이오밍 주(州) 잭슨홀에서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 주최 경제정책회의에 참석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했다.

옐런 의장은 "견고한 고용시장과 미국 경제전망 개선 등의 측면에서도 볼 때 연준은 금리를 인상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며 "최근 몇 달간 금리 인상을 위한 여건이 강화됐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금리 인상 시점을 언급하지 않았지만, 금융시장에서는 연내 금리 인상에 힘을 실어준 것으로 평가했다.

미국 연준이 이르면 내달 금리 인상을 단행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국제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을 높이고 우리나라에서 외국인 자본의 이탈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추가로 낮추기 쉽지 않다는 관측이 나온다.

◇ 국제금융시장 불안으로 외국인 자본유출 우려

미국의 금리 인상은 국제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을 키우면서 한국경제에도 어떤 방식으로든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국제금융센터는 이날 '美 통화정책 불확실성 재부각 가능성'이라는 보고서에서 "미국의 금리 인상은 12월이 유력하지만 9월로 앞당겨질 경우 신흥국을 중심으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당장 우리나라에서 외국인 자본이 빠져나갈 가능성이 있다.

지난해 미국의 금리인상 전망이 확산했을 때도 이런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한국은행 국제수지 통계를 보면 작년 6월부터 올해 2월까지 국내 채권, 주식 등 증권시장에서 9개월 연속 외국인 자금이 유출됐다.

이 기간에 이탈한 외국인 자금은 266억 달러(약 30조원)나 됐다.

다행히 우리나라는 외환보유액과 경상수지 흑자규모가 크고 최근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부여하는 국가신용등급이 상향조정되는 등 경제의 기초 여건이 좋은 편이다.

이 때문에 외국인 자본이 대규모로 급격히 빠져나갈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일정 규모의 자금이 유출될 공산은 있다.

실제로 최근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지자 코스피에서 24∼26일 외국인은 순매도 행진을 펼쳤고 주가는 내림세를 보였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기업, 가계 등 경제 주체들의 불안감을 확산시켜 실물경제에도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중국 등 신흥국 시장이 타격을 받으면 우리 기업들의 수출 전선에 먹구름이 짙어질 개연성이 있다.

하반기 기업 구조조정에 따른 대량실업이 우려되고 수출 부진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경제가 더 어려운 국면을 맞을 수 있는 셈이다.

다만, 미국의 금리 인상은 달러화 가치를 높이면서 최근 원/달러 환율의 급락을 둘러싼 걱정은 줄어들 전망이다.

원/달러 환율이 오를 경우 우리나라 기업들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져 수출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 한은 기준금리 추가 인하 어려워져…가계부채도 부담

옐런 의장이 금리 인상에 과거보다 분명한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평가됨에 따라 한은의 고민도 커졌다.

현재 부진한 경기 상황을 고려할 때 기준금리를 올리는 것은 어렵고 현실적으로 인하와 동결이라는 두 개의 선택지만 남아있다.

일단 한은이 기준금리를 선제로 내리기 어려워졌다는 게 중론이다.

지난 6월 기준금리를 연 1.50%에서 1.25%로 전격적으로 인하했을 때와 다른 상황이다.

당시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의 판단에는 미국의 고용지표 악화 등으로 연준의 금리 인상이 어려워졌다는 판단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이번에는 미국의 추가적인 금리 인상이 현실화될 공산이 커진 만큼 한은이 먼저 움직이기 쉽지 않다.

미국이 금리를 올릴 경우 내외금리 차 축소로 한국에 들어와 있는 외국 자본 유출이 가속화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창선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한은의 운신 폭이 제약받을 것으로 보인다"며 "한은은 미국 금리 인상의 파급효과나 금융시장 충격 등을 지켜보고 나서 기준금리를 판단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내적으로는 증가세가 꺾이지 않는 가계부채가 기준금리 인하의 걸림돌이다.

사상 최저인 연 1.25%까지 떨어진 기준금리는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정책과 함께 가계부채를 늘려온 '주범'으로 꼽힌다.

한은의 가계신용 통계를 보면 지난 6월 말 현재 가계부채는 1천257조3천억원으로 올해 상반기에만 54조2천억원 급증했다.

또 한은은 정부의 추가경정예산(추경)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

정부는 기업 구조조정에 따른 대량실업 대응과 경기 부양을 목적으로 11조원 규모의 추경안을 편성했으며 추경안은 오는 30일 국회 본회의에서 처리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한은은 당분간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연준 통화정책 등 국내외 경제 여건을 관망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그러나 금융시장에서 올해 안에 기준금리가 추가로 인하될 것이라는 전망이 꺼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금리 인상이 지연될 경우 한은이 통화정책을 유연하게 운용할 수 있는 여지가 다시 커질 수 있다.

또 하반기 우리 경제의 부진이 예상보다 심각하면 경기 부양을 위해 기준금리를 내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다시 부각할 것으로 점쳐진다.

[연합뉴스]
Copyrights ⓒ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꼬마빌딩도 `흔들`…김영란법에 고급식당 줄폐업

공실률 커지며 유동성 불안


  • 김기정 기자
  • 입력 : 2016.08.22 17:51:58   수정 : 2016.08.23 09:05:50


서울 서초동에 '꼬마빌딩'을 갖고 있는 한 모씨는 최근 세입자와 상담을 한 뒤 밤잠을 설치고 있다. 고급 요리 전문 음식점을 운영하는 세입자가 김영란법이 시행되면 장사에 타격을 입을 것 같다며 임대료를 낮춰줄 것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한씨는 "김영란법은 나와는 관계없는 일이라고 생각했는데 시행도 되기 전에 그 여파가 상당한 것 같다"며 걱정했다.

역삼동에 꼬마빌딩을 소유한 윤 모씨도 상황은 비슷하다. 그는 "임대수입이 지금보다 더 낮아지면 건물을 사기 위해 받은 은행 융자금 이자도 내기 힘든 수준이 된다"면서 "은행에서 연락이 오면 대출금을 갚으라고 할까봐 겁부터 난다"고 말했다

저금리를 타고 수익형 부동산의 대세로 떠올랐던 꼬마빌딩 시장도 김영란법 태풍의 영향권에 들어왔다. 고급 음식점들이 김영란법으로 타격을 입을 것으로 우려되면서 입주 건물 주인들은 비상이 걸렸다. 22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다음달 28일부터 시행되는 일명 '김영란법(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에 따라 강남과 광화문을 중심으로 형성된 고급 식당들이 "장사하기 힘들다"며 폐점하거나 업종 전환을 시도하는 중이다.

꼬마빌딩 소유주들에게 음식점들은 비싼 임대료를 낼 수 있는 몇 안 되는 업종이었다. 결국 김영란법 시행→음식점 타격→꼬마빌딩 수익률 감소 위기라는 '연쇄반응'이 일어나는 형국이다. 꼬마빌딩은 4~5층인 규모의 특성상 세입자가 통째로 건물을 빌리거나 2~3개 업소가 영업하는 사례가 많다. 꼬마빌딩의 가장 큰 위험은 세입자가 빠지는 '공실'이다. 영업난에 시달린 세입자가 문을 닫고 공실이 생기면 새로운 세입자를 구할 때까지 건물주는 손실이 불가피하다. 무리하게 대출을 받아 건물을 매입한 경우에는 자칫 유동성 위기에까지 몰릴 수 있다.

그동안 저금리 바람을 타고 꼬마빌딩 가격은 수직 상승했다. 40억~60억원 수준이던 강남 이면도로 꼬마빌딩은 최근 3~4년 새 가격이 50억~80억원으로 올랐지만 연 수익률은 2~3%로 낮아졌다.



금융권이 대출 관리에 들어간 것은 건물주들에겐 또 다른 부담이다. 가계부채 증가와 함께 제1금융권에선 하반기 들어 사업자 대출심사를 강화하는 등 대출 관리에 집중하는 추세다. 수입 감소가 예상되는 고급 음식점의 신규 대출을 막고 이들이 입주해 있는 건물도 곱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꼬마빌딩 소유주의 부채비율이 높으면 금융권이 대출 연장을 거부하거나 대출 회수에 나서는 상황도 배제하기 힘들다.

[김기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